원본 문자열에서 시작 인덱스 기준으로 잘라내길 원하는 바이트수만큼 문자열을 잘라내는 API이다.
| Parameters | Type | Description | 
|---|---|---|
| nCharLength | STRING | 원본 문자열 길이 | 
| strString | STRING | 원본 문자열 | 
| nStartPos | long | 시작 인덱스 (문자 위치 기준) | 
| nByteCount | long | 잘라낼 바이트수 | 
| nHangulByteLength | short | [옵션] 한글 한글자 바이트 크기 | 
| Type | Description | 
|---|---|
| class | 잘라낸 정보 오브젝트 | 
nCharLength 파라미터 값은 strString 파라미터 값에 대한 문자 길이(한글 한자도 길이를 1로 계산함)를 지정한다.
nHangulByteLength 파라미터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, 아스키 문자가 아닌 문자의 바이트 길이는 실행환경 파라미터인 DBMS_CHARSET 값에 의해서 결정된다.
nStartPos 파라미터는 문자 위치 기준으로 계산된다.
리턴되는 정보 오브젝트는 아래와 같다.
substr_info = {
    next: 0,    // 다음 데이터를 찾을 위치
    data: ""    // 잘라낸 문자열
};
  
function btn_substringbyteex_on_mouseup()
{
	var substr_info, input_data, input_length;
	
	input_data = "홍길동123abc";
	input_length = input_data.length;
	
	factory.consoleprint("input_data = " + input_data);
	factory.consoleprint("input_length = " + input_length);
	
	substr_info = factory.substringbyteex(input_length, input_data, 0, 6, 2); 
	factory.consoleprint("[" + substr_info.data + "]");
	
	substr_info = factory.substringbyteex(input_length, input_data, substr_info.next, 3, 2); 
	factory.consoleprint("[" + substr_info.data + "]");
	
	substr_info = factory.substringbyteex(input_length, input_data, substr_info.next, 3, 2); 
	factory.consoleprint("[" + substr_info.data + "]");
}